가을 하늘이 높은 이유, 유난히 파래 보이는 이유는?
애국가 3절 첫소절은 “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없이~”라는 내용으로 시작됩니다. 또 천고마비라는 사자성어에서도 가을 하늘이 유난히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. 실제로 가을 하늘이 높아지는 것은 아닐텐데 그렇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?
태양 빛 산란 높이의 차이
계절이 변화한다고 해서 실제 하늘 높이가 달라질리는 없습니다. 하지만 가을 하늘이 이전에 비해 더 높게 보이는 것은 태양 빛과 관계가 있습니다. 빛이 공기 중의 작은 입자와 부딪쳐 빛이 사방으로 재방출되는 현상으로 인해 빛이 산란되는 높이가 전과 달라지는 것입니다.
먼지가 적은 가을 하늘이 더 높아보인다?
대기 중에 먼지가 많다면 낮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되기에 상대적으로 하늘이 낮아 보입니다. 하지만 먼지가 적다면 미세한 공기 분자에서 태양빛이 산란되어 하늘이 유독 높아 보이는 것입니다. 가을의 맑은 하늘잉 이 같은 현상을 이끌어내는 것이죠.
가을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
가을 하늘이 높아보이는 것과 비슷한 이유입니다. 깨끗해진 공기 덕분에 마치 뻥뚫린 듯 높은 하늘을 감상할 수 있고, 이는 하늘이 유독 파랗게 느껴지게 만드는 것입니다. 특히 파장이 짧은 색 중에서도 파란색이 눈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더 도드라지게 보이곤 한답니다.